지니의 따듯한 공간
NAT, EtherChannel 본문
NAT 구성하기 위해서 , ACL을 먼저 구성해야 한다.
사설망 -> 공용망 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해선 게이트웨이에서 NAT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inside local adress (사설 ip대역)
inside global address (공인 ip)
inside = Source (출발지)
1. list나 pool 및 사설, 공인 ip대역및 주소 설정
ip nat inside source static <local-ip> <global-ip>
여러명이서 쓸 경우에는 overload
2. accese-list랑 pool 묶어주기 !
3. 각 인터페이스에 inside , outside 설정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92.168.0.10 1.1.1.1
access-list 1 permit 192.168.0.0 0.0.0.255
ip nat pool jinee 1.1.1.3 1.1.1.3 netmask 255.255.255.254
ip nat inside source list 1 pool jinee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92.168.0.10 1.1.1.1
이더채널 ! 2계층 장비 스위치- 에서는 STP가 기본적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포트 2개를 논리적으로 묶어서 하나의 통로 처럼 사용하자 !
-> 이더 채널 (PAgP, LACP)
mode on 으로 설정하면 둘다 active로 사용 가능
묶어서 트렁크로 설정
이 가상 포트를 가지고 모드 설정 (trunk , active 등)
이렇게하면 둘다 액티브 상대 ( 패킷트레이서상에서 초록불 들어옴 )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efix List / Route Map (0) | 2020.10.12 |
---|---|
OSPF - Bandwidth 값 변경 (0) | 2020.09.27 |
CCNA2 / 2.3.2.3 Troubleshooting Static Routes (0) | 2019.12.02 |
CCNA2 / 2.2.5.5 Floating Static Routes (0) | 2019.12.02 |
CCNA2 / 2.2.2.4 정적 라우팅 (0) | 201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