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etwork/AWS (7)
지니의 따듯한 공간

IGW 통해서 NAS 서버 접속가능 내부에서 NAT GW를 통해 외부와 통신 가능 ELB는 라운드 로빈 방식 ( load balancing ) 웹서버는 최소2개~ 최대4개 동적 확장 구성 ( Auto Scaling) 외부에서 vpc접속 -> VPN을 통해서 접속 (Open VPN)

비용은 많이 들겠지만 관리적인 부분은 신경안써도 되는 부분 -> 원격으로 RDS 설치해서 사용 서버에대해 잘 알고, 관리를 잘 할 수있으면 EC2 (서버)에 RDS 설치 해서 사용 DynamoDB AWS에서 지원하는 DB, 속도가 빠르다. 웹 UI에서 관리 할 수 있다. 구축함에 있어서 훨씬 편리하다. Windows에서 EC2 연결 (SSH) pem -> ppk로 변환 후 스캔: Select 필터 : Where

-------서브넷--------짝수 - 퍼블릭 / 가용영역 A : 홀수 - 프라이빗 / 가용영역 B 이제 VPC / 서브넷 생성했고,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 퍼블릭 영역에 IGW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해야한다.이렇게 VPC에 IGW 연결했고, 라우팅 테이블 작성 시작 라우팅 테이블에 ip 경로 설정 ! 퍼블릭 서브넷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 프라이빗 서브넷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 설정라우팅 테이블을 서브넷에 연결 해준다.igw를 검색해서, 아까 만들었던 인터넷게이트웨이를 선택하고, 저장 ! 자, 그리고 ~!사설망(프라이빗)에서 퍼블릭으로 연결을 할려면 무조건 NAT/PAT가 필요하다. NAT를 생성해보자~!하지만, 마법사를 이용해서 생성해서 아까 NAT GATEWAY대신 NAT ..

aws볼륨 크기 조정 및 리눅스에서의 파티션 설정 사이즈를 한번 늘리면, 6시간동안 늘리거나 줄이지 못한다. 하드 디스크 용량이 늘었다. 실제 파일시스템은 그대로이다. (용량) 다시 lsblk 를 사용하면. 사이즈가 늘어난것을 확인할수있다. 하지만 파티션은 8g만 사용한다. 파티션을 나누는 단계 , EBS 용량 호ㅓㄱ정blkid /dev/xvda1Type = xfs 이면 -> xfs_growfs /dev/xvda1 실행df -h로 용량 확인현업에서 서버 디스크를 늘릴때에는 하루정도 걸린다.. 은행 같은경우 12시~6시 업무 안됩니다 -> 엔지니어가 작업중 새로 볼륨을 만들어보자!-> 하드디스크를 하나 가져오는것. 사는것. 볼륨 연결 -> 하드디스크를 컴퓨터에 추가 하는 개념. (인스턴스 = 컴퓨터..
!
Amazon Linux AMI는 Amazon Web Services가 Amazon EC2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리하는 Linux 이미지이다.
Amazon Elastic Compute Cloude(EC2)는 클라우드에서 가상 머신을 만들고, 실행하는데 사용하는 Amazon Web Services 이다.AWS에서는 이러한 가상 머신을 'Instance' 라고 하는데, Amazon EC2에서 Linux 가상 머신을 깔기 위해 인스턴스를 구성 해 보자! https://portal.aws.amazon.com/billing/signup#/start 혹시나 AWS 계정이 아직 없으신 분들은 위 URL로 접근해서 AWS 계정을 생성 하고 ,계정을 생성 후 로그인을 했다면 AWS Management Console 창으로 이동하자 !우리는 가상머신에 리눅스를 설치하는 목적이니까, AWS에서 컴퓨터를 대여하기 위한 'EC2' 서비스를 사용한다 ! 컴퓨터에 기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