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의 따듯한 공간
Router 본문
스위치나 라우터 같은 장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Secure Shell (SSH) 또는 HyperTextTransferProtocolSecure (HTTPS)를 사용한다.
콘솔 접속은 원격 접속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초기 설정시에 사용된다.
콘솔접속을 위해서 필요한 것들
- 콘솔케이블 : RJ-45 to DB-9 시리얼 케이블 또는, USB 시리얼 케이블
- 터미널 접속 소프트웨어 - Tera Term, PuTTY 및 HyperTerminal
컴퓨터의 시리얼 포트와 네트워크 장비의 콘솔 포트 간에 케이블을 연결한다.
컴퓨터에 시리얼 포트가 없으면 USB-to-RS-232 어댑터를 이용하여 USB 포트에 연결한다.
스위치는 가상 인터페이스에 IP주소를 설정한다. (스위치는 2계층 장비이기 때문)
-> SVI (Switched Virtual Interface)
VLAN 1에 ip를 설정하는것, 디폴트 게이트웨이 정보도 함께 설정한다.
스위치로는 웹페이지를 띄워서 서비스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DNS는 필요하지 않다.
Routers
전역설정 모드 - hostname명령
사용자 모드 , 특권 모드, 원격 접속을 위한 보안설정은 왼쪽 그림과 같다.
비인가 접속을 위한 법적인 공지는 전역설정 모드의 배너 명령을 이용하여 수행
-> banner motd ** Authorized Access Only ! **
§구성을 수정변경한 후에는 반드시 저장한다.
R1#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Flash - OS파일
NVLAM - Start up configure file
RAM - Running configure file
Layer2 스위치는 LAN을 지원하고 다수의 FastEthernet or Gigabit Ethernet 포트를 가지고 있다.
라우터는 LANs과 WANs을 지원하며 Gigabit Ethernet, 시리얼, High-Speed WAN interface Card (HWIC) slots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에는 반드시 IP address, subnet mask가 필요하고 no shutdown으로 활성화 해야한다.
Note: DCE 장비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에는 clock rate 명령어가 필요하다. (라우터와 라우터의 연결 할때)
※ 라우터에 IPv6 주소 설정
Ipv6에서는 서브넷 마크스 대신에 프리픽스(prefix)를 사용한다.
Ipv4는 IP주소,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
인터페이스 활성화를 위해 no shutdown 명령을 사용한다.
IPv6 enable 인터페이스 구성 명령을 사용하면 인터페이스는 글로벌 유니캐스트 주소 없이도 자동적으로 IPv6 링크-로컬 주소를 생성한다.
Ipv4와 달리, 1개이상의 IPv6 주소를 가질 수 있다.
Ipv6장비는 반드시 IPv6 link-local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IPv6 글로벌 유니캐스트 주소도 함께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동일한 서브네트워크에서 여러 개의 IPv6 글로벌 유니캐스트 주소를 가질 수도 있다
글로벌 유니캐스트 또는 링크로컬 IPv6 주소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
• ipv6 address ipv6-address/prefix-length
• ipv6 address ipv6-address/prefix-length eui-64
• ipv6 address ipv6-address
Configure an IPv4 Loopback Interface
IPv4 loopback 인터페이스는 라우터에 테스트와 관리의 목적으로 구성된다.
루프백(loopback) 인터페이스는 논리적으로 생성된 라우터의 내부 인터페이스 이다.
•물리적인 포트에 할당되는 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장비와 연결하는 데 사용되지는 않는다
•소프트웨어적인 인터페이스로 라우터가 동작하는 동안 자동적으로 UP 상태를 유지한다.
OSPF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에서는 장치 ID로 물리적인 IP주소보다는 루푸백 주소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물리적인 IP 주소는 상태가 up/down 되기 때문이다. //루프백 주소는 항상 up
※ 인터페이스 설정 검증
인터페이스의 동작과 구성의 오류가 없는지 검증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
•show ip interface brief – 모든 인터페이스의 요약정보를 보여준다.
Pv4 주소 정보 뿐만 아니라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show ip route – IPv4 라우팅 테이블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한다.
•show running-config interface interface-id – 특정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명령어를 보여준다.
(PT에는 지원하지 않음)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더 세부적인 인터페이스 정보 모을 수 있다
•Show interfaces – 인터페이스 정보와 패킷 카운트 정보를 보여줌
•show ip interface – IPv4 관련된 라우터의 모든 인터페이스 정보를 화면에 보여줌
※ 인터페이스 검증을 위한 IPv6 명령어는 IPv4와 매우 유사하다.
•show ipv6 interface brief – 인터페이스 출력이 [up/up]이면 1계층과 2계층이 모두 동작 중이라는 뜻임
•Show ipv6 interface interface-id –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모든 IPv6 주소와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보여줌
•show ipv6 route –IPv6 네트워크와 특정 IPv6 인터페이스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
‘C’ 표시는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라는 뜻임.
※ Show 명령어에 필터 걸기
Show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24줄을 출력하고 화면이 중지된다..
•스페이스 바를 클릭하면 새로운 페이지로 넘겨주고, Enter키를 누르면 한줄씩 넘어간다.
•터미널 길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화면에 보이는 라인수를 조정할 수 있다.
출력된 내용에 필터기능을 사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필터기능을 활성화 하기위해서는 “|” 를 사용한다..
•show running-config | section line con – “line con”으로 시작하는 페이지부터 화면에 보여줌
•show ip interface brief | include down – “down” 을 포함하는 모든 라인을 화면에 보여줌
•show ip interface brief | exclude up – “down” 을 포함하는 모든 라인을 제외하고 화면에 보여줌
•Show running-config | begin line – “line”으로 시작되는 이후 페이지를 모두 화면에 보여줌
이미 실행했던 명령어들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음
Ctrl+P 또는 화살표(위/아래)를 이용하여 이전에 사용한 명령어를 재호출 하여 사용 가능
•가장 최근 명령이 가장 위쪽에 표시됨
•Keep pressing Up Arrow to recall the commands in the history buffer.
기본은 최근 10개의 기록이 버퍼에 저장됨
사용자 모드에서 terminal history size 를 이용하여 버퍼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음.
특권 모드에서 show history p명령어를 이용하면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음
전기신호로 보내고 헤더를 떼고 붙이고,
※ 라우터의 핵심기능은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는 것이다.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패킷을 받아서 다른 인터페이스로 내보내는 것을 스위칭(전달)기능 이라고 한다.
단, 2계층 스위치의 스위칭과 혼동하면 안된다.
•스위칭 기능은 인터페이스로 패킷을 내보낼 때 패킷을 적당한 데이터링크 프레임으로 캡슐화도 수행한다.
(내보내기 전에 2계층 헤더를 다시 붙인다는 뜻임)
데이터가 있고, 쌓이는 느낌 (캡슐처럼 캡슐화해서)
R1이 패킷을 받았는데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다 -> (목적지가 168.4.10)
R1은 168.1.0 과 168.2.0 네트워크를 가지고있다.
※ 라우터가 어떤 네트워크로부터 패킷을 받았을 때,
그 패킷의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 라면 라우터는 아래의 3단계를 수행한다.
•1 단계. 수신한 프레임의 헤더와 트레일러를 제거하여 3계층 패킷만 빼낸다.
•2 단계. IP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하여 최적의 경로를 찾는다.
•3 단계. 라우터가 목적지로 가는 경로를 찾았다면 3계층 패킷을 새로운 2계층 프레임 에 포함하여(2계층 해더와 트레일러를 붙여서) 내보내는 인터페이스로 전달한다.
※ 패킷이 송신 장치에서 목적지 장치로 이동하면 3계층의 IP 주소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단지 2계층 데이터 링크 주소는 캡슐화 해제되고 다시 캡슐화 될 때 모든 홉(라우터)에서 수정됩니다.
(2계층 데이터 링크 주소: MAC주소)
즉 라우터는 3계층 헤더의 목적지 ip를 보고 , 라우팅 테이블을 비교하여 내 로컬 주소가아니면 최적의 경로의 다음 홉에 대한 라우터의 mac주소를 2계층 프레임(새로운)넣어서 다시 붙인다. 그리고 1계층(전기적신호)으로 전달한다.
새로운 2계층 프레임이란 Source MAC주소를 자신의 MAC주소로 바꾸고,
Destination MAC 주소는 다음 홉에 대한 MAC주소로 바꾸어서 프레임에 장착
디폴트게이트웨이 주소 아는방법.
이미 arp테이블에 주소가 등록되어있거나,
arp 프로토콜을 보내서 (브로드캐스트) 얻거나..
※ PC1에서 PC2로 패킷을 보낼때 :
•PC1 : 목적지 IPv4 주소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지 확인한다.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으면 PC1은 ARP 캐시에서 또는 ARP request를 통해 목적지 MAC 주소를 가져옵니다.
•만약 목적지 네트워크가 다르다면 PC1은 패킷을 디폴트 게이트웨이에게로 전송합니다.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 PC1 은 ARP table에서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IPv4 주소와 MAC 주소를 확인합니다. 없을 경우 ARP request를 실행합니다.
•PC1 이 R1의 MAC 주소를 알면 패킷을 R1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됩니다.
※ R1이 PC1으로 부터 이더넷 프레임을 받으면 :
•R1은 목적지 MAC 주소(수신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를 검사하고 버퍼로 프레임을 복사합니다.
•R1은 이더넷 유형 필드가 0x800인지 확인합니다.
이 필드는 이더넷 프레임이 IPv4 패킷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R1은 이더넷 프레임의 헤더와 트레일러를 제거합니다. (캡슐화 제거)
•패킷의 목적지 주소 192.168.4.10 이 R1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R1 은 적절한 경로를 찾기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검색합니다.
•R1’의 라우팅 테이블이 192.168.4.0/24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R1은 192.168.4.0/24 으로 가는 경로를 발견합니다. Next hop(다음 홉)의 주소는 192.168.2.2 이고 FastEthernet 0/1 이 출구 인터페이스임.
•IPv4 패킷은 새로운 목적지 MAC 주소를 가지는 이더넷 프레임으로 캡슐화 되고, 이때 목적지 MAC 주소는 넥스트 홉 라우터 R2(192.168.2.2)의 MAC 주소가 된다.
•출구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R1은 next hop 라우터의 MAC 주소를 찾기위해 ARP 요청을 수행한다.(ARP 테이블에 없다면)
•R1 이 next hop의 MAC 주소를 찾으면 새롭게 생성된 이더넷 프레임을 R1의 FastEthernet 0/1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달하게 된다.
-R2 는 MAC 주소를 검사한다. R2는 목적지 MAC 주소가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와 매치가 되므로 프레임을 버퍼에 복사한다.
-R2는 프레임의 데이터부분에 IPv4 패킷일 있는지 검사한다.
-R2는 프레임의 해더와 트레일러를 제거하여 캡슐화를 해제한다.
-목적지 IP 주소가 다른 네트워크에 있으므로 R2는 라우팅 테이블을 검사하여 해당하는 네트워크가 있는지 검색한다.
-R2의 라우팅 테이블에 192.168.4.0/24 네트워크로 가는 경로가 있고 next-hop IPv4 주소(다음 라우터)는 192.168.3.2 이며 출구 인터페이스는 Serial 0/0/0 이다.
-출구 인터페이스가 이더넷이 아니므로 R2 는 next-hop IPv4 를 이용하여 MAC 주소를 찾을 필요는 없다.
-IPv4 패킷은 새로운 데이터 링크 프레임으로 캡슐화 되어 출구 인터페이스 Serial 0/0/0로 전달된다.
-시리얼 인터페이스에는 MAC 주소가 없으므로 R2 는 데이터링크 주소를 브로드캐스트 주소와 동일하게 설정한다.
-R3 데이터 링크 PPP 프레임을 버퍼에 복사한다.
-R3은 데이터링크 PPP 프레임을 캡슐화 해제 한다.
-R3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 라우팅 테이블에서 탐색한다.
-목적지 네트워크가 R3와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이므로, 패킷을 다른 네트워크로 보낼 필요없이 직접 목적지로 보내면 된다.
-출구 인터페이스가 직접연결된 이더넷 네트워크 이므로, R3은 목적지 Ip 주소와 매핑되는 MAC 주소를 ARP 테이블 또는 ARP request를 통해서 찾는다.
- 라우터의 핵심 기능은 패킷을 보내기 위한 최선의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다.
- 라우팅 테이블 탐색 결과는 아래 3가지 경로 결정 중 하나에 해당된다.
•직접 연결 – 만약 목적지 IP 주소가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에 속한다면 패킷은 출구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로 바로 전달된다.
•원격지 네트워크 – 만약 목적지 IP 주소가 원격지 네트워크에 속한다면, 패킷은 다른 라우터에게로 전달된다.
•결정된 경로 없음 – 만약 목적지 IP주소가 연결된 네트워크 또는 라우팅 테이블에 없다면 패킷을 Gateway of Last Resort(디폴트 게이트웨이)에게 전달된다.
-대상 네트워크로 가는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려면 여러 경로를 평가하고 해당 네트워크에 도달하는 최적 또는 최단 경로를 선택해야합니다.
-최적 경로는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메트릭(metric) 또는 비용을 기반으로 해서 선택된다.
-해당 네트워크로 가는 최적 경로는 가장 낮은 메트릭을 가진 경로이다. 메트릭은 주어진 네트워크에 도달 거리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값이다.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라우팅 테이블을 구축하고 업데이트 하기 위한 각각의 규칙 또는 메트릭을 갖고 있다.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들의 메트릭의 예를 들면: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 – 홉 수
•Open Shortest Path First (OSPF) –송신지에서 목적지까지 누적된 대역폭 기반으로 계산되는 비용
•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EIGRP) – 대역폭, 지연, 부하, 신뢰도
-만약 라우터가 동일한 목적지 네트워크로 동일한 메드릭을 가진 두개 이상의 경로를 가지게 된다면, 라우터는 두 경로로 동일하게 패킷을 전달하게 된다.
-라우팅 테이블은 단일 목적지 네트워크만 가지고 있지만, 여러 개의 출구 인터페이스를 가질수 있다 – 동일한 비용 경로마다 한개씩, 이를 동일 비용 로드 밸런싱이라고 한다.
-올바르게 구성되었다면, 로드 밸런싱은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동일비용 로드밸런싱은 동적라우팅과 정적 라우팅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EIGRP는 비동일 비용 로드밸런싱을 지원한다.
- 라우터에 여러 라우팅 프로토콜이 구성되어 있고 정적 경로가 있는 경우
라우팅 테이블에 동일한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해 둘 이상의 경로 소스(경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각 라우팅 프로토콜은 동일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다른 경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라우터는 선택할 경로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AD를 사용한다.
- Cisco IOS는 관리 거리 (AD)를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할 경로를 결정합니다.
- AD는 경로의 "신뢰성"을 나타냅니다. AD가 낮을수록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어떠한 라우터의 경우에는 상위 라우팅프로토콜이 작동하지 않을 수 도 있다.
※ The Routing Table(라우팅 테이블)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직접 연결된 경로들 – 활성화된 인터페이스에서 정보를 가져온다.
•원격지 경로들 –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또는 정적으로 구성으로 부터 학습을 통해서 가져온다.
-라우팅 테이블은 RAM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로서 직접연결 또는 원격지 연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라우팅 테이블은 원격 네트워크의 연결을 위한 다음 홉(next ho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 정보는 목적지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다음 홉 라우터가 누구인지 알려준다.
-Cisco 라우터에서 show ip route 명령어는 IPv4 라우팅 테이블을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 어떻게 경로를 학습하는가? 경로가 생성된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서 어떤 인터페이스로 보내져야하는지 등등
-라우팅 케이블의 경로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아래의 코드로 식별된다.
•L - Local Route interfaces
•C - Directly connected interfaces
•S - Static routes (정적 경로)
•D –EIGRP routing protocol.
•O –OSPF routing protocol.
IPv4 및 IPv6 라우팅 테이블의 내용을 해석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D : 경로를 어떻게 학습했나?(EIGRP)
•10.1.1.0/24 : 목적지 네트워크
•90 : 관리거리 (AD) , 경로의 신뢰성
•2170112 : 메트릭,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필요한 비용, 낮을수록 좋음.
•209.165.200.226 : Next-hop, 패킷을 목적지에 보내기 위해 보내야할 다음번 라우터 주소
•00:00:05 : 타임스탬프, 경로 학습 후 얼마나의 시간이 경과 되었는가?
•Serial0/0/0 : 출구 인터페이스, 넥스트 홉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어떤 인터페이스로 보내야 하는가?
인터페이스 정보가 없는 새로운 라우터는 빈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 인터페이스 상태가 [up/up]으로 간주되고, IPv4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되기 전에
※ 인터페이스에 반드시 아래의 내용일 실행되어야 한다.
•유효한 IPv4 또는 IPv6 주소를 할당
•no shutdown 명령을 통한 활성화
•라우터, 스위치 또는 컴퓨터로 부터 캐리어 신호를 받아야 함
-> 인터페이스가 up 상태가 되면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는 라우팅 테이블에 “직접 연결" 경로로 추가 된다.
/32 는 호스트 하나를 의미한다. 위의 C. L은 하나의 셋트로 보면 된다.
- IOS 버전 15 이후에서는, 직접 연결된 활성 인터페이스가 그림과 같이 두 개의 라우팅 테이블 항목을 만듭니다.:
•The route source “C” 는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경로임을 나타낸다.
•The route source “L” 은 라우터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v4 주소를 나타낸다.
- 라우팅 테이블 항목은 목적지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목적지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할 때 사용할 출구 인터페이스도 보여준다.
※ 인터페이스에 적절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그리고 no shutdown 명령을 통해 활성화를 하였다면 정보는 자동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 된다(그림 참고)
※ 각 인터페이스가 추가되면 라우팅 테이블은 자동적으로 ‘C’(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와 ‘L’(인터페이스 주소) 을 추가한다.
§왼쪽 그림은 IPv6 주소를 가지는 R1의 직접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show ipv6 route 명령은 IPv6 네트워크와 IPv6 라우팅 테이블에 포함된 특정 IPv6를 검증하는데 사용된다.
• ‘C’ 는 직접 연결된 경로를 의미한다.
• ‘L’ 는 로컬 경로를 의미하며, IPv6에서는 /128 프리픽스를 가진다.
§ping 명령어는 연결성 검사에 사용된다.
•ping 2001:db8:acad:3::2
- 직접 연결된 인터페이스 구성 후에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되면 정적 또는 동적 라우팅을 구성할 수 있다.
- 정적 경로는 수동으로 구성되며 두 네트워킹 장비 간에 명확한 경로를 정의할 때 사용된다.
- 만약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되면 정적경로는 반드시 수동으로 재구성 해야한다.
- 정적 경로의 장점:
•보안성 향상
•자원 효율성 – 낮은 대역폭 활용, CPU 미사용(경로 계산 및 통신 불필요)
- 라우팅 테이블에는 두가지 타입의 정적 경로가 있다.
•특정 네트워크로 향하는 정적 경로
•디폴트 정적 경로(default static route)
- IPv4 정적 경로들은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Ip route network mask { next-hop-ip | exit-intf }
- 정적 경로들은 라우팅 테이블에 ‘S’ 코드를 포함한다.
- 디폴트 정적 경로(default static route)는 PC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와 유사한다. 디폴트 정적 경로는 목적지 네트워크를 위한 경로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을 때 사용하는 출구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ip route 0.0.0.0 0.0.0.0 { exit-intf | next-hop-ip } 출구 인터페이스 혹은 다음 홉 ip주소
※ 그림은 R1의 Serial 0/0/0 인터페이스에 IPv4 디폴트 정적 경로의 구성을 보여준다
•‘S’ 는 정적 경로를 의미한다.
•*(별표)는 디폴트 경로(후보)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로는 Gateway of last resort (디폴트 경로)로 선택되었음을 의미한다.
※ R2에서 R1의 두 LAN 네트워크에 도착하기 위해서 두가지 정적 경로 구성이 있다.
•R2(config) # ip route 192.168.10.0 255.255.255.0 s0/0/0
-> 출구 인터페이스 사용
•R2(config) # ip route 192.168.11.0 255.255.255.0 209.165.200.225
-> next hop IP 주소 사용
※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들이 원격 네트워크의 상태나 도착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된다.
※ 정적 경로의 수동 구성 대신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를 탐색하고 동일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른 라우터들과 네트워크 정보를 공유한다.
•라우터들은 다른 라우터로부터 원격 네트워크에 대해 자동적으로 학습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과 각각으로의 최적 경로들은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된다.
※ 라우터들은 정보의 교환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 한 후에 완성된다. 라우터들은 그들의 라우팅 테이블에 네트워크 정보들을 유지한다.
※ Convergence time(수렴시간)은 짧을 록 좋다.
※ 정적 라우팅에 비해 동적 라우팅의 큰 장점은 최초 경로가 사용할 수 없게 되더라도 새로운 경로가 생성된다는 것이다.
※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관리자의 개입없이 네트워크 구성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 Cisco 라우터에서 지원하는 IPv4 라우팅 프로토콜:
•EIGRP
•OSPF
•IS-IS
•RIP
•router ? 명령을 사용하여 자세한 내용 확인 가능함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 Routing and Switching (0) | 2019.09.19 |
---|---|
Skills Integtation Challenge.pka (0) | 2019.07.18 |
CCNA2 - Chapter 1 (4) | 2019.05.23 |
Configuring IPv6 Addressing (0) | 2019.04.15 |
[Packet Trace] Implementing Basic Connectivity (0) | 2019.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