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의 따듯한 공간

CCNA R&S Scaling Networks 본문

Network/CCNA

CCNA R&S Scaling Networks

Jineer 2019. 10. 1. 16:14

VTP(VLAN Trunking Protocol) : VLAN 서버를 통해서 VLAN 들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VLAN server, VLAN client, VLAN transparent

 

DTP(Dynamic Trunking Protocol)

Cisco 전용 프로토콜

Trunk의 모드를 통신이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설정(access, trunk)

Inter-VLAN routing using L3 switch

 

STP

§Spanning Tree Protocol

§RSTP

§PVST+

§MSTP

 

EtherChannel and HSRP

§EtherChannel

§HSRP

§First Hop Redundancy Protocol

 

Dynamic Routing

 

Dynamic Routing

 

EIGRP = Enhanced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LAN Design

Campus Wired LAN Designs

 

네트워크 확장의 필요성

§네트워크 구축시 원칙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 트래픽 교환 지원

중요한 응용 프로그램 지원

통합 네트워크 트래픽 지원

다양한 비즈니스 요구 사항 지원

중앙 집중식 관리 제어 제공

 

계층적 디자인 모델

 

확장성을 위한 설계

미국이나 중국 같은경우는 인프라를 교체할려고하면

땅이 작아서 시간이 1~2년으로 해서 될게 아니였다.

우리나라의 인프라가 빠른속도로 발전한 계기에는

땅이 좁아서 아, 이거 좀 별로인가?하면 막 여러번 갈아치우고, 링형 성형 등등의 토폴로지를 구성해 가면서

확장성이 좋은 토폴로지를 사용하게 되고 , ㅎㅎㅎ

ㅎㅎㅎ중국은 그래서 유선보다 무선이 더 발달되어있다

이중화

※ 이중화 = HA (High Availability) : 고가용성 이라는 말로도 자주 표현되니까 기억하자 !

Active - Active

Active - Standby

 

AA : 둘다 작동되고있고, 하나가 고장나면 다른 하나로 서비스

AS : 하나만 작동하고있고 하나가 고장나면 사용안하던 하나를 작동

1:1 / 1+1 / 1:N / N:M

1:1 = 하나가 죽으면 하나가 대기하고있다.

1+1 : 두개다 운영하고있다.

1:N : 1개의 Active에 대해서 여러개의 Standby

 

이중화의 의미 : 대체 경로를 제공한다.

주로 loop를 방지하는 프로토콜인 STP와 함께 사용된다.

 

장애 영역

 

외부 트래픽이 많은 호스팅 업체라면 라우터 쪽에 이중화를 고려해야 할 것이고,

내부 트래픽이 많은 기업이라면 스위치 쪽에 이중화를 고려 해 봐야한당.

 

엑세스 계층 확장

공유기는 3계층 장비,

 

AP는  2계층 ip 할당 해준다. 사용자 인증을 하고 나서 단지 물리적인 채널만 제공해준다. 

 

라우팅 프로토콜

// EIGRP는 시스코에서 만든 프로토콜

 

스위치 플랫폼

 

 

가장 기본적인 show 명령어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P ( Spanning Tree Protocol )  (0) 2019.10.10
Routing 方法 四つ  (0) 2019.10.08
CCNA Routing and Switching  (0) 2019.09.19
Skills Integtation Challenge.pka  (0) 2019.07.18
Router  (0) 2019.05.2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