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의 따듯한 공간

STP ( Spanning Tree Protocol ) 본문

Network/CCNA

STP ( Spanning Tree Protocol )

Jineer 2019. 10. 10. 13:42

루트 브리지로는 모든 트래픽이 반드시 거쳐야한다.

루트 브리지는 우선순위가 제일 높아야 한다.

루트 브리지는 하나만 있어야한다.

루트 브리지의 모든 포트는 지정포트이다 !

루트 브리지를 제외한 포트들을 비 루트 브리지 라는 표현을 쓴다.

루트 포트는 하나만 있어야한다. 그럼 나머지 포트는 대체포트. (백업용)

 

루트 브리지로 가는데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포트 (루트 포트)

 

S2 와 S3 둘다 지정포트로 하면 안되고,

하나의 포트를 차단해야한다 (대체포트로 해놓아야 한다)

BID (Bridge ID 값)을 비교해서 대체포트를 결정한다.

 

 

제일 처음에는 루트 브리지의 id값은 비어져있다.

bpdu를 주고 받을때 보낼때에 자신의 루트 브리지의 id값을 보낸다. 

받은 스위치는 다시 보낼때 자기 루트 브리지의 id값을 보낸다.

그러다가 가장 낮은 id값을 가진 스위치의 id값을 루트 브리지 id값에 적는다.

그렇게 루트 브리지가 선정이된다.

 

같은 기기일 경우 앞에 2byte가 왠만해선 같다. 

그래서 맥주소를 비교를하는데, 오래된 장비가 루트로 선정되는 일이 많다.

-> 우선순위를 조정 할 수 있다. 성능이 좋은 스위치를 루트 브리지로 선정하기 위해서.

 

 

 

그래서 4096의 배수로만 비교할 수 있다.

 

 

 

 

 

루트 id / 루트 path cost / bridge ID / port ID    <-  4가지가 루트 포트를 결정한다.

 

STP Lab File.pkt
0.04MB
LAB FILE Switch Topology
S1#show spanning-tree

 

 

 

stp로 끝나는것은 표준 프로토콜

stp를 cst라고도한다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1.4 Configuring SSH / SSH 기초 설정  (0) 2019.10.17
3.2.1.8 Configuring RIP / RIP 기초  (0) 2019.10.17
Routing 方法 四つ  (0) 2019.10.08
CCNA R&S Scaling Networks  (0) 2019.10.01
CCNA Routing and Switching  (0) 2019.09.19
Comments